카시오페아 (CASIOPEA)
장르 퓨전
활동 기간 1977년 - 2006년, 2012년 -
공식 사이트 http://www.casiopea.co.jp/
1977년에 결성 되었다. 야마하 밴드 대회 출전을 발판으로 하여 1979년에 데뷔. 이후 퓨전 음악계의 제일선에서 앨범등의 작품 제작과 라이브 활동을 매년 거의 끊이지 않고 계속 해왔지만, 2006년에 모든 활동을 중단 했었으며, 2012년 CASIOPEA 3rd (카시오페아 서드)로 활동을 재개 하고있다.
밴드 이름을 CASIOPEA로 지은 직후 1976년에 출전한 아마추어 밴드 콘테스트 EastWest'76 에서 현재 CASIOPEA 3rd에 이르기까지 기타,베이스, 키보드, 드럼의 4인조로 활동. 중간 전속 가수의 대동 (1986 년 - 1987년)과 트윈 드럼의 형태 (2004 년 - 2006년) 도 있었다. 현재 회원은 다음과 같다.
이세이 노로
1957년 1월 1일, 도쿄도 출신 기타 밴드의 리더. 메인 작곡자. 결성 - 데뷔 때부터 유일한 오리지널 멤버.
요시히로 나루세
1949년 11월 13일, 도쿄도 출신. 1990년 가입.
오오타카 키요미
10월 18일생 사이타마현 출신 키보드 2012년 가입.
게스트 회원 프로필
아키라 짐보
1959년 2월 27일, 도쿄도 출신 드럼. 1980년에 가입하여 1989년까지 재직한후 1997년부터 지원하는 멤버로 복귀 .
결성시 에서 1989년 까지 노로 이세이, 테츠오 사쿠라이 테츠오, 아키라 짐모등의 멤버로 제 1 기 활동, 1990년에 사쿠라이와 짐보의 탈퇴를 받고있는 요시히로 나루세의 가입 부터 2006년 활동 중단 표명 까지 를 제 2 기, 2012년에 활동 재개를 표명하고 동시에 무카이야 이노루의 탈퇴로 오오타카 키요미의 가입 이 이루어진 현재의 모습인 CASIOPEA 3rd로 제 3기 활동중이다.
사운드의 특색
리듬면에서는 16비트를 기본으로하고, 또한 하모니면에서는 재즈이론을 기반으로 텐션 노트와 대리 코드 를 사용하여 복잡하면서도 부드러운 코드 진행이나 전조가 특징중의 하나이다.
결성시 리더겸 기타리스트 이세이 노로는 오리지날곡을 중심으로 연주, 락이나 펑크를 기반으로 애드립등 솔로 플레이가 아닌 앙상블을 주체로한 기존에 일본에서 보기힘든 일본 퓨전의 음악성을 보여주었다. 80 년대에 들어서면서 팝을 앞세운 더 스퀘어(T - SQUARE )와 함께 주류가되어 테크닉적인풍 일본 퓨전음악에서는 '카시오페아 같은'이라는 형용사가 일반적으로 사용 되었다.
다른 퓨전계 아티스트 뿐만 아니라 카시오페아의 곡은 TV 프로그램과 라디오 프로그램의 BGM 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상업적 평가
80년대 초반에서 중반에 걸쳐 상업적으로도 성공하고 노래(가수)없는 연주밴드를하면서 앨범 발매마다 차트 상위 석권과 라이브를 거듭할때마다 팬을 늘리고 일본 전국 콘서트 투어를 개최 했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이되면 미국 진출을 위해 보컬의 도입과 아메리칸팝 컬러를 단단하게했지만 음악성은 밴드의 방향성을 잃기 시작하여 평가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또한 사쿠라이와 짐보의 탈퇴 라는 결정적인 사태와 함께 인기가 급락했다.
베이시스트 나루세를 새로 맞이한 이후에는 록과 펑크의 연주에 맞춘 음악으로 인한 지속적인 활동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새로운 세대의 팬을 늘리는것에 성공한다. 기복이 심한 오늘날 일본의 음악 업계에서 활동 중단의 2005년까지 매년 꾸준히 앨범을 제작하여 출시하고 있었다.
2006년 활동 중단후 부활을 바라는 소리는 끊임없이 전해지고 활동 재개 이유의 하나로 팬들의 성원이 있었다. 재개후 라이브는 모두 성황리에 공연이 매진 했다.
다른 아티스트에 미친 영향
데뷔 앨범에서 밴드 악보가 발행 되거나 연주자를위한 음악 잡지에서 다루어진 적도있어, 많은 아마추어 플레이어에 연주 되어 왔다. 현재에도 많은 카피 밴드가 존재한다.
아마추어 시절에 카시오페아의 곡을 연주하거나 영향을 받은 프로 뮤지션도 많다. 요시카와 코오지는 1985년에 카시오페아와 후지 TV의 음악 프로그램 '밤의 히트 스튜디오 DX'에서 공연할때 카시오페아 곡을 카피, 연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고백했다. 베이시스트 이며, 작 · 편곡가 이기도한 토쿠나가는 학창 시절 카시오페아를 카피하고 있던것 뿐만 아니라 도쿄 음악 대학 재학중에 강의를 맡은 나루세와 노로의 학생으로 공부했다.
카시오페아 에피소드
데뷔년도가 가까운 퓨전 유닛 T - SQUARE 에 대해 노로는 '감각이 있다'고 자꾸 입에 올렸다. 이 두 그룹 은 1994년에 TV 프로그램 '타모리의 음악 세계!'에서 공연한 적이 있고 그때 노로는 전성기 기간이다. 또한 2003년에 T - SQUARE와 공연한 라이브 'Casiopea VS The SQUARE THE LIVE !'의 인터뷰에서도 비슷한 발언을 하고있다.
대표 곡
ASAYAKE
두번째 앨범 'SUPER FLIGHT'에 수록. 처음에는 키보드가 주제인 곡이었지만 'EYES OF THE MIND'에서 기타를 주제로 비슷한 편곡으로 'MINT JAMS'에도 수록 되었다. 라이브에서는 반드시라고해도 좋을만큼 연주되는 클래식곡이 되었다. 인트로의 기타 커팅 부분은 유명하다.
DOMINO LINE
'CROSS POINT' 이후 'MINT JAMS'에 어레인지를 바꾸어 수록된다. 후발 버전에는 문구를 16 분음표 마다 한음 한음 구분하여 다른 악기로 연주 하는 '소리의 도미노( Ds → G → B → Kb )' 라는 기술이 짜지고 있으며 비교적긴 ( 1분 이상 )의 베이스 솔로, 드럼 솔로가 수록되어있다.
GALACTIC FUNK
'CROSS POINT'이후 'FOUR BY FOUR'에 리 릿나워 그룹과 공동 출연한 버전을수록 라이브에서도 자주 연주 되었다. 카시오페아는 희귀한 코드베이스의 진행이 특징으로 라이브에서는 그것을 이용한 매우 자유도가 높은 애드립이 가능, 특히 중기 이후에는 노로에 의한 기타의 슬랩 주법이 담겼다 . 또한 투어마다 인트로나 브리지, 엔딩에서의 어레인지가 업데이트 되어 있다.
SPACE ROAD
'CASIOPEA'이후 'EYES OF THE MIND'에도 수록. 같은 테마가 단 3도에 차례 차례로 전조해 나가는 것이 특징. 초기 - 중기 라이브에서 즐겨 연주 되었다. 각처에서 주제로 옮기기 직전의 16분음표의 기타 플레이가 특징적이지만 중기 이후의 라이브에서 연주되었을때 기타 ·베이스 · 키보드의 16분 음표 조화를 보여준다.
BLACK JOKE
'CASIOPEA' 이후 'EYES OF THE MIND'에도 수록. 인트로나 엔딩 6연부의 프레이즈를 들을 수있다. 이 프레이즈는 노로의 손버릇 ( 다용하는 프레이징 패턴중 하나 )이 바탕으로되어 있다한다.
EYES OF THE MIND
'MAKE UP CITY' 이후 'EYES OF THE MIND'에도 수록. 라이브에서도 자주 연주되고 , 'CROSS POINT' 발표까지 라이브 절정을 이루었던 곡이지만 그 다음은 'SWEAR'에 그 자리를 양보해, 앙코르등으로 많이 연주 되었다.
TAKE ME
첫수록 두번째 작품 'SUPER FLIGHT'이후 'EYES OF THE MIND', 'MINT JAMS'에도 수록. CROSS POINT 투어에서 나루세는 멤버내에서는 '타케메'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었다. 전편 코드 연주의 멜로디 라인이 특징.
음반
ALFA 시대(알파뮤직 레코드)
CASIOPEA ( 1979년 5월 25일 )
SUPER FLIGHT ( 1979년 11월 25일 )
THUNDER LIVE ( 1980년 4월 21일 )
MAKE UP CITY ( 1980년 11월 21일 )
EYES OF THE MIND ( 1981년 4월 21일 )
CROSS POINT ( 1981년 10월 21일 )
MINT JAMS ( 1982년 5월 21일 )
FOUR BY FOUR ( 1982년 12월 16일 )
PHOTOGRAPHS ( 1983년 4월 23일 )
JIVE JIVE ( 1983년 11월 30일 )
THE SOUNDGRAPHY ( 1984년 4월 25일 )
DOWN UPBEAT ( 1984년 10월 25일 )
HALLE ( 1985년 9월 10일 )
CASIOPEA LIVE ( 1985년 12월 21일 )
SUN SUN ( 1986년 9월 10일 )
CASIOPEA PERFECT LIVE II ( 1987년 1월 27일 )
POLYDOR 시대
PLATINUM ( 1987년 9월 1일 )
EUPHONY ( 1988년 4월 25일 )
WORLD LIVE '88 ( 1988년 11월 25일 )
PIONEER LDC 시대
THE PARTY ( 1990년 6월 25일 )
SPLENDOR ( 1990년 11월 25일 독집 앨범 ) 앨범 미수록
FULL COLORS ( 1991년 5월 25일 )
active ( 1992 년 5 월 25 일 PICL - 1036 )
WE WANT MORE ( 1992년 8월 25일 라이브 반 )
MADE IN MELBOURNE ( 1994년 3월 23일 라이브 반 )
후 ALFA 시대
DRAMATIC ( 1993년 5월 21일 )
ANSWERS ( 1994년 5월 25일 )
HEARTY NOTES ( 1994년 8월 24일 )
PONY CANYON 시대
ASIAN DREAMER ( 1994년 12월 16일 )
FRESHNESS ( 1995년 5월 19일 )
FLOWERS ( 1996년 9월 20일 )
LIGHT AND SHADOWS ( 1997년 9월 3일 )
BE ( 1998년 9월 18일 )
MATERIAL ( 1999년 5월 19일 )
후 PIONEER LDC → GENEON 시대
20th ( 2000년 2월 23일 )
Bitter Sweet ( 2000년 6월 14일 )
MAIN GATE ( 2001년 7월 11일 )
INSPIRE ( 2002년 7월 17일 )
PLACES ( 2003년 7월 2일 )
MARBLE ( 2004년 11월 25일 )
GIG 25 ( 2005년 2월 25일 )
SIGNAL ( Synchronized DNA ( 아키라 짐보 + 히로유키 )와 공동 작, 2005년 12월 21일 )
복귀 후 HATS UNLIMITED 시대
CASIOPEA 3rd/LIVE LIFTOFF 2012 ( 2013년 4월 17일 )
DVD
VINTAGE 2002 (2003 년 )
CASIOPEA vs THE SQUARE THE LIVE ! ( 2004년 )
the way of CASIOPEA ( 2004년 )
5 STARS LIVE ( 2005년 )
CASIOPEA 3rd/LIVE LIFTOFF 2012 ( 2012년 12월 26일 HATS UNLIMITED )
'Musics > Art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펠리테리(Impelliteri) (0) | 2013.10.06 |
---|---|
미스터빅(Mr.Big) A to Z (1) | 2013.10.05 |
메탈신 주다스 프리스트(Judas Priest) A to Z (0) | 2013.09.26 |
드러머 마이크 포트노이(Mike Portnoy) (0) | 2013.09.24 |
드림시어터의 새로운 드러머 마이크 맨지니 프로필 (0) | 2013.09.20 |